비행/항공기상용어사전

항공기상용어사전(Meteorological Dictionary) ㅇ(1)

파일럿레오 2023. 7. 10. 10:54

항공기상용어사전(Meteorological Dictionary)

 

ㅇ(1)

 

아네로이드기압계 ( aneroid barometer )

기압을 측정하는 장치의 하나로, 얇은 금속으로 만든 진공 상태의 용기가 기압이 높아지면 오므라들고, 기압이 낮아지면 부풀어 오르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휴대하기에 편리하고 견고하기 때문에 선박이나 항공기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아열대 ( subtropical belt )

기온에 의해 분류할 때 열대와 온대 사이의 지대를 말하며, 비가 적은 곳이 많다. 쾨펜의 옛 분류에서는 월평균기온이 20 ℃를 넘는 달이 4∼11 개월인 곳을 아열대로 했었으나, 이후 잘 알려져 있는 분류에서는 아열대란 말을 사용하지 않고 있다. 아열대의 범위는 정의에 따라 다르나, 대개 위도 25∼35° 사이에 해당된다. 열대보다 고위도에 있기 때문에 태양고도의 연변화에 대응해서 고온기와 저온기의 계절 차가 일어난다. 고온기에는 기온이 몹시 오르며, 저온기에는 상당히 기온이 내려가므로 기온의 연교차가 70 ℃를 넘는 곳도 많다. 사하라, 아라비아, 파키스탄, 칼라하리 사막, 오스트레일리아의 내륙사막, 중국의 화중 및 화남평야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아열대는 관개 등에 의하여 토양수분의 부족을 해결하면 건조 지역이나 반건조 지역에서도 풍부한 농경지로 바꿀 수 있다.

 

아열대고압대 ( subtropical high-pressure zone )

남·북위 30∼35°사이에 띠 모양으로 자리 잡은 기압이 높은 지역을 말한다. 중위도 고압대라고도 하며, 연중 하강기류가 있어서 습도가 낮고 날씨가 좋다. 세계 사막 지역의 대부분이 이 고압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아열대고기압은 아열대 해양 상에서 주로 발달한 키가 큰 고기압으로 대기대순환에 의한 역학적 원인으로 발생한다.

 

아열대기후 ( subtropical climate )

아열대에서 볼 수 있는 기후를 말한다. 쾨펜의 기후분류에는 없으나 대체로 지중해성기후와 건조기후(스텝기후와 사막기후)가 이에 속한다. 지중해성기후는, 여름에는 아열대고압대의 영향을 받아 고온건조하며 겨울에는 편서풍대에 속하여 우기가 된다. 지중해 지역 외에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나 남아메리카의 칠레 해안, 아프리카와 오스트레일리아 남부에 분포한다. 건조기후는 사막기후와 스텝기후로 이루어진다.

 

아지랑이 ( atmospheric shimmer )

봄철 맑은 날에 햇볕이 강하게 쬘 때 해안의 모래밭이나 초원 또는 아스팔트 위에서 마치 무색의 흔들거리는 연기와 같은 것이 피어올라 먼 곳의 경치가 아른거려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햇볕으로 인해 뜨거워진 지면에는 상승기류가 발생하나, 바로 위의 기층에서는 난류에 의하여 밀도가 작은 공기와 큰 공기가 복잡하게 뒤얽혀서 상승하게 되는데, 이곳을 통과하는 빛이 불규칙하게 굴절되어 일어난다.

 

악기상 ( severe weather )

일상생활에 큰 어려움과 위험을 동반하는 기상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궂은 날씨를 말한다. 천둥·번개, 강한 난류, 열대저기압, 강한 착빙, 강한 스콜선, 현저한 산악파, 강한 우박, 광범위한 모래나 먼지보라 등을 동반한다. 이들의 대부분은 규모가 작고 수명이 짧기 때문에 정확한 예보가 어려운 것이 특징이다.

 

안개 ( fog )

매우 작은 물방울이 대기 중에 떠다니고 있는 현상으로 수평 시정이 1 km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구름과 안개의 차이는 그것이 지면에 접해 있는지 아니면 하늘에 떠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지형에 따라 또는 관측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구름이 되기도 하고 안개가 되기도 한다. 안개의 농도와 두께는 습도, 기온, 바람, 응결핵의 종류와 양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안개는 공기가 포화 상태에 이르면 생기지만 공장 지대에서는 응결핵이 많으므로 습도가 80% 정도인 경우에 생기기도 한다. 불포화공기에 수증기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냉각시키면 포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즉, 안개의 생성은 크게 증발과 냉각에 의하며, 이에 따라 크게 냉각안개와 증발안개로 분류한다. 냉각안개는 지면과 접해 있는 공기층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가 되면서 발생하는 안개를 말하며, 여기에는 복사안개, 이류안개, 활승안개가 있다. 복사안개는 지표면의 복사냉각에 의하여 지표에 접하는 공기가 냉각되어 생기는 안개를 말하며 땅안개라고도 한다. 대부분 육상에서 복사냉각이 심하게 나타나는 가을과 겨울철에 많이 발생한다. 발생 조건은 날씨가 맑아야 하고, 바람이 약하게 불어야 하며, 습도가 높아야 한다. 이류안개는 따뜻하고 습기가 많은 공기가 찬 지표면 위를 이동할 때 생기는 안개를 말한다. 해상에서 형성된 안개는 대부분 이류안개로 이를 해무라고 부른다. 해무는 복사안개보다 두께가 두꺼우며, 발생하는 범위가 아주 넓다. 또한 지속성이 커서 한번 발생되면 수일 또는 한 달 동안 지속되기도 한다. 활승안개는 습윤한 공기가 완만한 산의 경사면을 따라 불어 올라갈 때 공기가 단열팽창 냉각됨에 따라 생기는 안개를 말한다. 산안개는 대부분이 활승안개이며, 바람이 강해도 생긴다. 증발안개는 수면에서 증발이 일어나려면 수온이 기온보다 항상 높아야 한다. 따라서 따뜻한 수면에서 찬 공기로 수증기가 증발할 때 안개가 발생하며, 이때 발생한 안개를 말한다. 여기에는 증기안개와 전선안개가 있다. 증기안개는 찬 공기가 따뜻한 수면 위로 이류할 때 생긴다. 이때는 수면으로부터 증발에 의한 수증기의 공급과 함께 하층이 급속히 가열되므로 대기가 불안정해져서 안개를 소산시키는 작용이 동시에 일어난다. 따라서 기온과 수온의 차가 상당히 커야 하며, 수면 위에 높지 않은 고도에 역전층이 있어야 한다. 늦가을에 호수나 강 부근에서 잘 생긴다. 전선안개는 전선에 동반해서 생기는 안개를 말한다. 전선을 따라 두 개의 공기덩이가 혼합해서 생기는 안개, 온난전선의 통과에 앞서서 빗방울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찬 공기 내에서 생기는 안개, 그리고 전선 통과 후에 비로 습해진 지표 위에 생기는 안개 등이 있다.

 

알베도 ( Albedo )

표면이나 물체에 입사된 일사에 대한 반사된 일사의 비율을 말하며 퍼센트(%)로 표현한다. 눈이 덮인 표면은 높은 알베도를 가지며 흙이 덮인 표면의 알베도는 높은 값에서부터 낮은 값까지 다양하고 초목으로 덮인 표면과 해양은 낮은 알베도를 가진다. 지구의 알베도는 구름, 눈, 얼음, 나뭇잎으로 덮인 지역 및 토지 피복도의 변화 정도가 변함에 따라 주로 바뀐다 알

 

베도계 ( albedometer )

알베도를 측정하는 복사계를 말하며, 반사율계라고도 한다.

 

양쯔강기단 ( Yangtze-river air mass )

주로 봄과 가을에 양쯔강 유역에 나타나는 기단이다. 이동성고기압이 되어 우리나라로 이동할 때, 온난하고 건조한 날씨를 보인다. 대륙성열대기단으로 분류되어 있으나, 오히려 몽골 방면에서 남하한 한대기단이 양쯔강 유역에서 온난건조한 기단으로 변질되는 경우가 많다.

 

어는비 ( freezing rain )

동우. 빗방울이 지물 또는 비행 중의 항공기 등에 얼어붙는 비를 말하며, 착빙성 비라고도 한다. 이때 지물이나 항공기의 표면에 생기는 균질 투명한 얼음층을 비얼음 또는 착빙이라고 한다.

 

어는점 ( freezing point )

1 기압 하에서 포화공기와 순수한 물 및 순수한 얼음이 평형 상태에 있는 온도로 0 ℃를 말한다. 즉, 얼음이 녹고 물이 어는 온도이며, 빙점이라고도 한다. 그러나 이것은 물이 순수할 때이고, 물 속에 물질(비전해성, 비휘발성인 것)이 녹아 있을 때는 어는점이 이보다 낮아진다.

 

에너지균형 ( energy balance )

전 지구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평균하면 기후시스템의 에너지 수지는 균형을 유지한다. 기후시스템은 모든 에너지가 태양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므로 이 균형이라는 말에는 전 지구적으로 입사되는 태양복사량이 태양복사를 반사하여 외부로 방출되는 양과 기후시스템에 의해 배출되는 적외복사량의 합과 평균적으로 같아야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에어러솔 ( aerosols )

대기 중에 부유하는 고체 또는 액체 상의 작은 입자로서 0.001∼100 ㎛ 사이의 크기 범위를 가진다. 황산염, 질산염, 황사입자, 검댕, 해염 입자 등이 있다. 이들은 햇빛을 산란시키고 흡수하기도 하여 기온을 내려가게 한다. 또한 시정을 흐리게 하고 이상기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에코 ( echo )

전파 및 음파를 발사하여 물체에 부딪혀서 되돌아오는 메아리를 에코라 한다. 레이더에코란 기상레이더의 안테나에서 발사한 전파가 멀리 있는 강수입자 등에 부딪히면 산란, 반사 등이 발생하여 그 전파의 일부분이 안테나 방향으로 되돌아온다. 이때 되돌아오는 수신 전력을 레이더에코라 한다.

 

엘니뇨 ( El Nino )

동태평양을 비롯해서 중태평양에 이르는 넓은 범위에 걸쳐 비정상적으로 온도가 높아지는 현상을 말한다.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 분포는 보통 서부가 고온이고, 동부 연안에서는 남쪽으로부터 한류인 페루해류가 흘러 들어와서 저온이다. 또 중부에서 동부의 적도역에서는 용승이라고 불리는 현상에 의하여 찬물이 솟아올라 북쪽이나 남쪽에 비해 저온 상태를 유지한다. 열대 태평양에 있어서의 바람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불므로 따뜻한 물층의 두께는 서부에서 두껍고, 동부에서 얇다. 해면 수위도 동부보다 서부 쪽이 높다. 그런데 이 무역풍이 어떤 원인으로 인해 약해지게 되면 서부의 따뜻한 물층은 보통 때보다 얇아지고, 동부의 따뜻한 물층은 보통 때보다 두꺼워진다. 이 때문에 용승이 약화되어 중부에서 동부의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온도는 평년보다 높아진다. 이로 인해 서태평양 쪽 지역에서는 평소보다 비가 적게 내려 가뭄을 겪게 되고, 동태평양 쪽 지역에서는 많은 비가 내리는 등 이상기상 현상을 보이는 것이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 의해 무역풍이 약해지는가 하는 것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현재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역전안개 ( inversion fog )

기온의 역전층 밑에 생긴 층운 등의 구름 밑이 지표면으로 가라앉아서 생기는 안개를 말한다.

 

역전층 ( Inversion layer )

일반적으로 기온은 상층으로 100 m 올라갈 때마다 0.65 ℃씩 감소한다. 그러나 기온이 고도에 따라 높아지는 것을 역전현상이라 하며 그 층을 역전층이라 한다. 역전층에서는 대기가 정역학적으로 안정 상태에 있고, 상하의 난류현상이 적으며, 역전층 위에는 층상운 또는 안개가 나타난다. 역전층의 원인으로는 찬 공기 위에 따뜻한 공기가 겹쳐서 전선면을 이루고 있는 경우로 전이층에서의 기온역전, 맑은 날 밤에 야간복사에 의하여 지표면의 기층이 냉각되어 형성되는 접지역전, 안정된 기층이 침강하여 형성되는 침강역전이 있다. 또한 도시 부근에서는 역전 현상으로 상·하층의 대기가 잘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역전층 아래에 연기, 매연 등이 침체되어 스모그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연교차 ( annual range )

기상요소의 1 년간을 통한 변동의 폭, 즉 연최고(최대) 값과 최저(최소) 값의 차를 말한다. 단, 기온의 연교차는 보통 최난월의 평균기온과 최한월의 평균기온의 차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연최고극기온과 연최저극기온의 차는 기온의 절대연교차라고 한다.

 

연무 ( haze )

시정 1 km 이상으로, 습도가 비교적 낮을 때 대기 중에 연기, 먼지 등 미세한 입자가 떠 있어서 공기의 색이 우윳빛으로 부옇게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화산의 분출물이나 바람에 날린 먼지, 황사 등 천연의 먼지가 공기 중에 섞여 있어 발생한다. 또한 도시나 공업 지대 등에서는 공장이나 주택 등으로부터 나오는 연기나 자동차의 배기가스 등 인간 활동에 따라 발생하는 인공적 오염 물질이 많다. 대기 하층에 기온역전층이 있으면 황산화물이나 질소산화물 등의 지상 농도도 높아지기 쉽다.

 

열권 ( thermosphere )

열권은 대기권에서 가장 높은 부분을 차지하는 층으로 지표면에서부터 80∼500 km 사이에 있다. 고도에 따라 기온이 급격히 올라가며 500 km 부근에 이르러 일정값에 가까워진다. 관측 결과에 의하면, 태양의 활동과 관련하여 중위도에서 1000∼1500 K(절대온도)이고, 고위도에서는 2500∼3000K로 변동한다.